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의 모든 것

부정망상 : 오셀로 증후군 '나쁜 상상속에서 살아요'

by 소쿠리 2022. 11. 7.
728x90

 

1. 개요

부정망상(不貞妄想)은 배우자나 애인의 부정을 의심하는 망상성 장애다. 흔히 의처증 또는 의부증이라고 불리우지만, 정식 명칭은 '망상장애'이다. 부정망상 또는 오셀로 증후군(Othello syndrome)은 부인 또는 남편이 상대방의 부정을 의심하는 망상성 장애의 하나이다. 편집성 인격장애환자의 경우, 부정망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오셀로 증후군(Othello Syndrome)
희곡 "오셀로"에서 유래된 단어이다. 극 중 인물인 이아고가 오셀로에게 그의 부관인 카시오와 그의 아내인 데스데모나가 불륜을 저질렀다고 모함하여 오셀로가 데스데모나를 죽이게 되는데 이 사건에서 오셀로의 아내에 대한 의심을 '오셀로 증후군(의처증)'으로 부르게 되었다. 


2. 증상

잠깐이라도 연락이 두절되거나 떨어져 있을 경우 왜 자신에게 연락을 하지 않느냐며 배우자를 의심하고 행적 하나하나를 캐내려 하며, 자신이 피해를 입고 있다고 망상을 하는 정신질환이다. 별 것이 아닌 일에도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하고, 배우자를 구속하려 하고, 배우자가 부정한 행동을 하여 자신이 피해를 입고 있다고 느끼고 있는 증상이다.
명확한 증거와 근거를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확실하게 믿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되려 환자 본인이 오히려 배우자의 부정적인 행동에 대한 증거를 찾고 싶어 한다.  
자신의 망상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를 찾기 위해 도청, 녹음, 비디오 촬영, 미행, 폭력, 협박 등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다. 

정신의학계에서조차 치료하기 힘들다고 알려져 있으며, 일단 알려진 방법은 항정신성 약물 치료를 받고 부부 치료, 가족 치료, 정신 치료 등을 받는 것이다. 약 50% 정도가 완치가 된다고 하며 20%는 치료가 안 된다고 한다.

치매를 대표하는 증세 중 하나로, 전두엽 치매, 알코올성 치매에 자주 보이며, 알츠하이머의 경우는 이후에 생긴다. 전두엽과 측두엽에 변화가 일어나 이런 현상이 자주 일어나는데, 오랜 기간 알코올 의존증에 있어도 생기는 증상이기도 하다.

 

3. 치료방법

다른 면에서는 정상적인 행동을 하기에 다른 정신질환보다 치료시기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의사도 환자의 망상 속의 한 인물이 되기 쉽기 때문에 정신과 질병 가운데 가장 치료하기 어려운 병으로 알려져 있다.
향정신성의약품을 사용한 약물치료, 정신치료, 부부치료 및 가족치료 등의 방법이 있다.


5. 같이 볼 수 있는 증후군 종류

조현증 : 조현병 또는 정신분열증은 비정상적인 사고와 현실에 대한 인지 및 검증력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나 행동, 사고장애의 증상이 나타나며, 사회적 위축 및 감정 반응의 저하 등도 동반된다.

 

피해망상 :  피해망상 또는 편집성 성격장애는 망상의 일종으로, 타인이 자신에게 해를 입힌다는 생각에 집착하는 것을 가리킨다.

 

망상성 조현병이나 망상장애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며, 양극성장애의 조증 삽화나 혼합 삽화, 또는 정신병적 우울증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대상에 대해 적개심과 공포심을 품게 되므로 심한 경우 공격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즉각적인 입원이 필요할 수 있다.
 
과민반응 : 과민반응은 평범한 사람이라면 반응을 보이지 않을 작은 자극에도 예민하게 반응하여 나타내는 체질,경향,상태를 말한다.

 

편집증 : 편집증 또는 파라노이아(영어: paranoia)는 심각한 걱정이나 두려움으로 자신이 주변으로부터 피해를 받을 것이라는 병리적인 의심을 고집하는 이상심리학적 상태를 일컫는다. 대개 비이성적 사고나 착각의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편집적 증세가 심해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문제를 겪는 경우 편집성 인격 장애로 진단받을 수 있다. 지속적으로 체계적 망상에 집착하는 망상장애와는 다르게 구분되기도 한다.

파라노이아(paranoia)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παράνοια(paranoia)에서 유래하였다. 그리스어로는 단순히 정신이상(para = 바깥, nous = 마음)을 뜻하는 단어이다. 편집증이라는 단어는 언론이나 문학에서는 의심이 많다는 뜻의 단어로 쓰이기도 한다.


스토킹 : 스토킹(stalking)은 '은밀히 다가서다, 몰래 추적하다'(stalk)라는 뜻에서 파생되어 명사화된 용어이다.

이것은 타인으로 하여금 위험을 느끼게 할 정도로 남을 좇아 다니는 것을 말하고 당연히 이 것은 범죄의 종류에 해당한다.

남을 좇는 행위는 물리적으로 남을 따라가는 것뿐만 아니라 전화, 이메일, 편지 등을 보내 괴롭히는 것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렇게 이동통신·대화방·게시판 등의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스토킹을 특별히 '사이버 스토킹'(cyber stalking)이라고 한다.


사이버스토킹 : 사이버스토킹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의도와 악의를 가지고 지속적, 반복적으로 공포감이나 불안감을 유발하는 범죄행위를 말한다. 사이버도 현실에서와 마찬가지로 고백이나 단순 글귀 송신, 소통을 하자고 요청하는 것은 범죄가 아니다. 따라서, 객관적으로 수신자에게 불안, 공포감을 유발할 가능성이 판단돼야 한다. 사이버에서 스토킹 행위를 통해 상대방을 노이로제에 빠뜨리는 사람을 사이버스토커라고 말한다.
망상 : 망상은 있지도 않은 것을 마치 사실인 양 믿거나, 이치에 맞지 않은 허황된 생각을 하는 것이다. 근거가 없는 주관적 신념. 사실의 경험이나 논리에 의하여 정정되지 아니한 믿음으로, 병적으로 생긴 잘못된 판단이나 확신을 나타내는 질환을 말한다. 학자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728x90

댓글